여성 자궁 질환의 종류 및 병리

자궁 질환의 분류

- 자궁 경부의 병리

- 자궁 체부의 병리

 

* 경부와 체부는 상피조직이 해부 조직학적으로 다르며, 출현하는 병변도 전혀 다르기 때문에 경부에서는 중년의 편평상피암이 많은 데 비해 체부에서는 고령자의 선암이 많이 보이는 편입니다.

자궁 질환의 종류

1) 자궁경관염

자궁경관의 염증은 호르몬의 활성, 월경, 임신, 성교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일상적으로 나타납니다. 특히 기혼여성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에게서 나타나며, 임상적으로는 대하, 요통, 부정 출혈, 불쾌감 등을 초래합니다. 조직학적으로는 선성가성미란, 편평상피 화생, 나보트낭형성 등의 다채로운 소견을 보입니다.

 

2) 자궁경관폴립(용종)

매우 빈도가 높은 병변으로, 보통 염증에 동반해 출현합니다. 경관 상피와 경관선, 혈관이 풍부한 간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때로 편평상피 화생이나 예비세포 중생을 동반합니다. 악성화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부정 출혈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3) 자궁경부암과 전암 상태

* 전암상태 : 편평상피 화생, 이형성

자궁 경부에서는 형태학적으로 여러 가지 특징적인 변화를 보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암 상태로서의 의미를 가집니다. 편평상피 화생은 암과의 관련성은 증명되지 않았지만, 상피내암종의 주위에서 이들 병변이 보인다는 사실에서 무언가 의미가 있으리라 추측하고 있으며, 이형성은 경도, 중등도, 고도로 분류하며 임상적으로도 달리 취급하고 있습니다.

 

* 자궁경부암 : 상피내암종, 진행 암

상피내암종은 침윤 암에 선 성행하는 병변으로 극성을 잃은 편평상피암세포가 상피 내에서만 증식해서 기저막이 유지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경관선이 암세포로 치환되었다 하더라도 그 기저막이 파괴되지 않은 경우는 상피내암종이라고도 봅니다. 상피내암종일 때 국소 절제를 하면 대부분은 치유가 됩니다.

진행성 암임상 소견을 가미해서 1기에서 4기까지 단계로 나뉘는데 육안으로 콜리플라워 모양, 궤양 형성, 침윤성의 침윤 형식을 보입니다. 모두 출혈 괴사를 동반하며, 조직학적으로는 대부분이 편평상피암으로 방사선치료에 비교적 양호하게 반응합니다.

자궁 체부의 경리

- 자궁내막의 질환

- 자궁근층의 질환

 

1) 자궁내막의 질환

* 염증 

내막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서 일차적인 감염증은 거의 없다. 때로 분만, 성교 등으로 발생하거나, 결핵이나 임질에서 파급되는 경우가 있다. 암에 동반해서 자궁내축농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선과 간질조직이 비정상적인 장소에 출현하는 것을 자궁내막증이라고 합니다. 부위로는 자궁근층이 가장 많고 이어서 난소, 소 골반강 수위며, 가끔 장관 등에서도 보입니다. 때로 월경주기에 맞춰서 출혈하는데, 난소에서는 확대된 선강안에 고인 혈액 응괴가 초콜릿처럼 보인다고 해서 초콜릿 낭 이라고도 부릅니다.

 

* 자궁내막증식증

호르몬의 균형이 깨지면서 발행하는 내막의 증식으로, 내막 선의 확장을 보이는 물혹 성과, 악성화할 가능성이 있는 선종성 및 이형 증식증이 있습니다.

 

* 자궁내막암

출현 연령이 경부암에 비해 평균 십년에서 십오년 정도 올라갑니다. 빈도도 1/5 정도로 낮으며, 암이 내강에서 폴립 상으로 증식하는 유형과 자궁벽으로 침윤성 병변을 보이는 유형이 있습니다. 조직학적으로는 대부분 섬임이며 경부암에 비해서 예후는 좀 더 양호한 편입니다.

 

2) 자궁근층의 질환

* 자궁근종

보통 평활근종이 보이는데 호르몬 활동이 왕성한 30~50세의 기혼여성에게서 출현합니다. 

에스트로젠의 과잉 분비가 원인이며, 부정 출혈이 주된 증상으로 커지면 연화하는 일이 있습니다. 드물게 악성화해서 평활근육종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 증상

척추 또는 다리 통증

과도한 월경 출혈

골반 부위의 부푼 느낌

잦은 배뇨

7일 이상 지속되는 월경

방광을 비우는 데 문제가 있다

변비

 

*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 조직 즉 자궁 선과 기질이 자궁 밖에 존재하여 질환을 유발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자궁 근육 벽으로 자라는 질환입니다. 자궁 밖에 위치한 이소성 자궁내막 세포는 각종 성호르몬에 대한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월경 주기에 따라서는 병변에 국소적인 출혈이나 염증 반응이 생겨서 결국 섬유화나 유착 등이 발행하여 이로 인한 통증과 불임증 등이 생기기도 합니다. 자궁근층에 가장 많이 출현하는데 보통 확산성의 자궁비대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 증상

장기간의 심한 월경 출혈

자궁 확대

만성 골반통

성관계 시 통증

월경통 (월경 중 심한 경련과 통증)